반응형 전체 글33 만65세 경로우대 교통카드 경기도 경기도에 사시는 만 65세 시니어 분들에게 경로우대 교통카드 발급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발급 대상, 발급 장소,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릴 테니 지하철을 무료로 사용하시고 버스 환승 혜택도 받으시기 바랍니다. 경기도 어르신 교통카드는 G-Pass카드라고 불립니다. 우대용 교통카드로 '쥐패스카드' 또는 '지패스카드'라고 부르면 됩니다. 경기도 만 65세 경로우대 교통카드는 버스는 돈을 내야 하고 지하철만 무료입니다. 만나이 계산기 자동목차1. 경로우대 교통카드 발급 대상✅ 발급대상 경기도 주민 만 65세 이상 경로우대용 교통카드 G Pass는 경기도에 사는 만 65세 이상인 어르신들에게 발급합니다. 지하철이나 전철을 횟수에 관계없이 무료로 타실 수 있습니다. 만약 경기도 이외의 지역으로 이사를 .. 2024. 1. 11. 65세 지하철카드 서울 서울시에 사시는 만 65세 시니어 분들을 위하여 무료로 지하철을 탈 수 있는 서울시 무료 지하철카드인 '우대용 교통카드'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발급 대상, 신청 장소, 사용법을 알려드릴 테니 무료로 노인전철카드를 발급받으시길 바랍니다.자동목차 1. 우대용 교통카드란? 우리가 평소에 버스나 지하철을 탈 때 사용하는 교통카드가 있죠? 우대용 교통카드는 이와 비슷하지만 조금 다릅니다. 서울과 그 주변 지역인 수도권에서 지하철을 무료로 탈 수 있게 해주는 지하철카드입니다. 즉, 지하철을 탈 때마다 요금을 내지 않아도 됩니다. 주로 나이가 많으신 분들, 장애를 가지신 분들, 국가를 위해 힘써주신 분들이 이 교통카드를 받을 수 있어요. 이 교통카드는 일회용 교통카드와는 달라요. 일회용 교통카드는 한 번.. 2024. 1. 10. 65세 이상 통신비 감면 신청방법 만 65세 이상 노인 혜택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에서 통신비 할인 혜택 즉 핸드폰 요금 할인받는 법에 대하여 시니어 분들께 알려드리겠습니다. SK텔레콤, KT(케이티), LGU+(엘지유플러스)만 해당되며, 알뜰폰의 경우는 각 회사의 고객센터에 문의하셔야 합니다. 자동목차1. 통신비 감면 혜택 대상1)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만 65세 이상이신 기초연금 수급자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인이 할인 혜택 대상인지 확인하시려면 전화번호 1523번을 눌러 음성안내에 따라 대상자인지 아닌 확인 가능합니다.2) 기초생활수급자 생계, 의료 급여를 받는 경우 핸드폰 요금을 월 최대 33,500원 할인 받을 수 있습니다. 주거, 교육 급여를 받는 경우에는 월 최대 21,500원을 할인 받을 수 있.. 2024. 1. 4. 퇴사후 국민연금 납부예외신청 방법 예외기간 기간연장 국민연금을 내다가 퇴사를 하고 소득이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납부예외신청을 하면 됩니다. 그러면 일정 기간 연금보험료 남부를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납부예외신청을 하는 방법과 예외기간 및 기간연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동목차1. 퇴사 후 국민연금 납부예외신청 회사에서 근무하시다가 그만두셨다면, 회사에서 퇴사 신고를 해주기 때문에 본인이 따로 신고할 필요는 없어요. 이때 60세 이전에 회사를 그만두면 사업장 가입자에서 지역 가입자로 전환되어야 합니다. 그러면 국민연금 가입이 유지됩니다. 👉 사업장 가입자? 지역 가입자? 뜻 👈 회사에서 직원이 퇴직한 경우에, 회사 측에서 다음 달 15일까지 사업장 가입자 자격 상실을 신고해야 합니다. 개인이 별도로 상실신고를 하는 것이 아니에요. 하지만 .. 2023. 12. 28. 국민연금 임의가입 알아보기 오늘은 국민연금 임의가입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임의가입이란 국민연금에 가입을 안 해도 되는 사람이 본인이 원해서 가입하는 경우입니다. 자동목차 1. 국민연금 기본 가입 대상 대한민국에서 18세 이상 60세 미만인 국민 대부분은 국민연금에 가입해야 합니다. 이는 노후 보장을 위한 중요한 조치로, 대부분의 국민이 포함되는 범위입니다. 2. 국민연금 가입 예외 사례 특별한 상황이 있는 경우에 국민연금 가입이 필수는 아닙니다.가입을 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전업주부의 선택임의 가입 가능 전업주부는 의무적으로 국민연금에 가입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노후 대비를 원한다면 임의로 가입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습니다. 이 경우 중위소득 이상의 수준으로.. 2023. 12. 27. 이전 1 ··· 3 4 5 6 7 다음 반응형